Muuuuuuusic26 [Logic] 영상음악 작업 시 Frame Rate 문제 영상음악을 작업할 때, 로직에 영상을 불러와 놓고 그것을 보면서, 그 영상 타이밍에 맞추어 음악 작업을 한다. 불러온 영상을 내가 다시 익스포트 해서 하나의 완성된 영상물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음악을 입히는데 도움이 되도록 영상 재생 툴만 제공할 뿐이다. 작곡가는 완성된 음악을 wav 파일로 익스포트해서 영상 제작자에게 다시 보낸다. 그러면 그 영상 제작자가 그 오디오 파일을 다시 영상에 붙여서 최종 익스포트 한다. 이때, 중요한 개념이 Frame Rate이다. 음악인들에게 좀 더 친숙한 개념인 Sample Rate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샘플레이트는 1초를 몇 개의 오디오 샘플로 쪼갰는지를 말하며, 음질의 단위다. (샘플레이트는 1초를 몇 개의 샘플로 쪼갰느냐 → 음질의 단위 중 하나 출처: .. 2020. 11. 5. [장비] 콘덴서 마이크 - Behringer B-2 pro (전문적이지는 않은 )리뷰 녹음을 받다가 마이크에 관한 여러 궁금증이 생겨 풀어보았다. 우선 내 소유 마이크는 베링거 사의 B-2 pro 콘덴서 마이크다. ‘콘덴서’ 마이크란 무엇인가? 마이크는 수음(소리를 받음)을 해, 물리적인 공기의 파동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주는 에너지 변환기의 일종이다. 마이크는 동작 원리에 따라 다이나믹, 콘덴서, 리본, 피에조, 탄소마이크 등으로 나뉘며, 저마다 받아지는 소리의 질감과 특성이 달라, 각각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마이크의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사이트에서 확인하자!! http://mikereview.org/?p=879 마이크란? 마이크란? 마이크란 ? 마이크는 간단히 말해, 소리신호(음향에너지)를 전기신호(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변환기입니다. 즉, 한종류의 에너지를 다른 종.. 2020. 11. 1. [증보 한국음악통사 요약] 서장 - 한국음악사의 새로운 인식 / 2절 - 한국음악사의 새로운 시대구분 ***별 표시 안의 이텔릭체 글은 블로그 글쓴이의 뇌피셜 주석임, 또한 요약하는 과정에서 저자의 의도를 해석하고 분류하여 원 글의 순서를 재정비하기도 했음을 밝힙니다*** ▶시대 구분의 관점들 한국음악사는 우리 음악인과 수용자들이 이루어 놓은 음악활동의 결과물이다. 이는 여러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음악수용층의 관점 : 어느 사회계층이 주도적으로 전개시키고 향수하였는가? --외래음악 수용사의 관점 : 시대에 따라 어떤 외래음악을 어떻게 수용하였는가? ▶시대 구분 용어의 문제 기존 개론서에서는 왕조명을 시대구분의 용어로 사용하는데, 이는 정치사 위주의 시대구분이기 때문에 음악 문화를 거시적으로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저서에서는 한국음악사의 시대구분을 고대-중세-근대의 세 시기로 나누고자 .. 2020. 10. 22. [증보한국음악통사 요약] 서장 - 한국음악사의 새로운 인식 - 1절 - 한국음악사학과 시대구분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2007, 서울) 1절. 한국음악사학과 시대 구분 1. 한국음악사학의 현황과 과제 음악사 학자도 일반 역사가들의 연구과정을 거치는데, 1세대 음악사 학자들은 역사적 사실 고증을 위한 미시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위주로 하였다. 이에 반해, 역사적 사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서술하기 위한 거시적 견지에서의 담론이 부족했던 것이 실정이다. 그 담론 중 중요한 하나가 '시대 구분'이다. 2. 시대 구분의 방법론 시대 구분이란 역사의 발전을 몇 가지 특징적인 시대로 구분하여 역사적 흐름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역사인식의 한 형태다. 음악사 서술이란 창작의 영역이 아니므로, 어떠한 추론을 통해 음악사를 서술하더라도, 그것은 반드시 역사적 사실과 사료에 근거해야 한다. 시대.. 2020. 10. 19. [가상악기] 플러그인 설치 오류 해결/ 설치 방법 / 설치 경로 / 팁 가상악기(플러그인)를 설치했는데 로직 및 큐베이스에서 인식이 안될 때,... 가상악기(플러그인)가 컴퓨터 용량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외장하드에 옮겼는데 인식이 안될 때... 컴맹은 울어요! 엉엉 오늘은 가상악기(플러그인) 설치 경로 설정 방법과 오류 해결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인의 개념에 대해 먼저 알 필요가 있는데, 이전 포스트에 정리해놨다. [개념이해] 플러그인이란? (Plug-in의 개념 / 가상악기와 플러그인) 출처: https://jinsengjellyfish.tistory.com/46 [JINseng Jelly Fish] 나는 세럼과 Britchannel을 설치했는데 로직에서 인식이 안 되는 중 ㅜ0ㅜ 일단 플러그인 종류 중에 별도의 관리 프로그램이.. 2020. 10. 13. [개념이해] 플러그인이란? (Plug-in의 개념 / 가상악기와 플러그인) 여러 해 동안 컴퓨터 음악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이 가상악기와 플러그인 등을 설치하고 컴퓨터의 작업 환경을 최적화하는 것이었다. 나는 초기에 개념 정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아직까지 헤매고 있었는데, 오늘 드디어 그동안 헷갈렸던 개념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오늘 알아볼 것은, 플러그인(Plug-in) 컴퓨터 음악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가상악기는 가상악기 혹은 VST, 그 외의 이펙터 등을 플러그인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하지만 플러그인은 가상악기와 이펙터를 아우르는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일단 플러그인의 사전적(위키백과..) 의미는 이러하다.. 플러그인(plugin) 또는 추가 기능(애드인;add-in, 애드온;add-on)은 호스트 응용 프로그램과 서로 응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특정한 "주.. 2020. 10. 9. Funk 펑크 1. Funk is... #위키피디아 Funk 영문 자료를 번역, 요약하였습니다. (☞ en.wikipedia.org/wiki/Funk) 펑크는 1960년대 아프리칸-아메리칸 사회에서 기원한 장르로, 소울, 재즈, 리듬 앤 블루스를 혼합하여 춤 추기 좋게 만든 매우 리드믹 한 음악이다. 멜로디나 코드 진행은 상대적으로 강조되지 않고, 오직 전자 베이스의 베이스 라인과 드럼의 강한 리듬적 그루브만이 강조된다. 펑크의 그루브는 다른 대중음악 장르 보다 템포가 다소 느린 경향이 있다. 아프리카의 영향을 받은 다른 장르들과 마찬가지로, 펑크는 '최면상태의', '춤 추기 좋은' 분위기와 느낌을 자아내는데, 이런 느낌은 리듬악기의 얽히고설킨 복잡한 그루브에서 유발된다고 볼 수 있다. 펑크의 문법은 1960년대 중반.. 2020. 10. 4. [Logic] 프로젝트 음질 세팅하는 방법 오늘은 로직에서 작업할 때 음질에 관해 프로젝트 세팅하는 법을 기록하겠다. 보통 음악을 만들 때 24bit (bit depth) / 48kHz (sample rate)으로 작업을 한다.그러나 CD나 음원 파일로 유통될 때는 16bit / 44.1kHz의 세팅으로 소비가 된다.공모전이나 의뢰자의 경우 원하는 세팅 값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하고작업 중간에 이를 바꾸면 에러가 나므로 꼭!!! 작업 전에 이 세팅을 완료해야 한다.***bit depth와 sample rate의 개념은 ☞ https://jinsengjellyfish.tistory.com/31. Bit Depth 설정하기 Logic Pro X (본인 것은 10.5.1버전) → Preference → Recording 여기에서 24-B.. 2020. 10. 3. <소나티네 앨범 > 곡분석 소나티네 형식 정리 글 링크 ☞ jinsengjellyfish.tistory.com/22 곡분석 SONATINEN - Album I, 삼성미디어 Friedrich Kuhlau 1786년 독일 율첸 출생 1832년 덴마크에서 사망 실내악곡과 기교적인 피아노곡도 알려져있지만 피아노를 위한 작품이 가장 널리 알려짐. 피아노 기초 연습곡으로 연주됨 Sonatinen, Cmajor 2020. 9. 24. 이전 1 2 3 다음